웹서비스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ETC

웹서비스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이솜이 0 3568

웹서비스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안녕하십니까?  저희 스카다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4월 말에 릴리즈될 개발버전과, 이후의 정식버전에서는 에러페이지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1.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이란? 


현재 스카다의 웹 서비스 사용자 초과로 인한 승인거부 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0f1c81dee33c3235e039fe27faeaa5b0_1556300700_4586.PNG  




하지만 이후 버전에선 아래처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74e1f84c382b191442253d19c91a4d33_1556531288_8316.PNG
 


기본적인 html 문서와 이미지를 가져오는 것을 허용하며 css, js 등은 html문서 내에 작성하셔야 합니다.





2. 에러페이지를 작성하는 방법


우선 X-scada의 웹서비스 내보내기 기능을 사용하시기 위해선 아래의 설정 창에서 "홈 디렉토리"를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저는 바탕화면에 web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를 지정하였습니다. 

0f1c81dee33c3235e039fe27faeaa5b0_1556301830_0431.PNG



이제 해당 폴더로 가셔서 첨부된 압축파일을 압축해제 하신 후 붙여 넣습니다. 폴더 이름은 ErrorPages입니다.

0f1c81dee33c3235e039fe27faeaa5b0_1556301995_7615.PNG


허용된 사용자가 초과되면 보여질 406.html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

내용을 보시면 html문법에 의해 간단한 내용을 작성하였으며 이미지가 하나 연결되어 있습니다.

해당 이미지의 경로는 "ErrorPages/test.jpg"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당 html파일이 기준이 아니라 "홈 디렉토리"가 기준 위치가 됩니다.

74e1f84c382b191442253d19c91a4d33_1556531334_6113.PNG

 


에러 페이지를 커스터마이징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홈 디렉토리"에 있는 "ErrorPages"폴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캡쳐 화면으로 보여드린대로 해당 폴더 안에 html문서 이름을 지정하여 작성해 주시면 다양한 에러 페이지로 HMI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clientCount/>와 <$maxClients/>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 수와 현재 사용자 수를 표시해 줍니다.

<$clientCount/>이 의미하는 것은 접속이 허가되어 접속 중인 사용자 이므로, <$clientCount/>의 수가 <$maxClients/> 보다 커지진 않습니다.


에러 정보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이미지는 jpeg, gif, jpg, png 4가지입니다. 

하지만 해당 폴더 안에 하위 폴더를 만드셔서 사용하시면 X-scada 웹서버가 읽을 수 없기 때문에 [홈 디렉토리]/ErrorPages 안에서 작업해 주시길 바랍니다.





3. 인터넷 익스플로러 설정 


Chrome이나 Edge 브라우져는 위에 적힌대로 에러 페이지를 작성하시면 그대로 표현이 됩니다.


하지만 Internet Explorer에서는 "인터넷 옵션"에서 설정 하신 후 재부팅하셔야 직접 장성하신 페이지가 표현됩니다.

Internet Explorer -> 인터넷 옵션 -> 고급탭 -> HTTP 오류 메시지 표시 순서로 설정을 찾으신 후, 체크를 해제합니다. 


해당 설정을 저장하신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하시면 적용이 됩니다.

74e1f84c382b191442253d19c91a4d33_1556532578_7406.PNG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1-08-02 17:14:18 Web Service에서 이동 됨]
0 Reply Comment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