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비스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웹서비스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안녕하십니까? 저희 스카다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4월 말에 릴리즈될 개발버전과, 이후의 정식버전에서는 에러페이지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1. 에러 페이지 커스터마이징이란?
현재 스카다의 웹 서비스 사용자 초과로 인한 승인거부 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하지만 이후 버전에선 아래처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html 문서와 이미지를 가져오는 것을 허용하며 css, js 등은 html문서 내에 작성하셔야 합니다.
2. 에러페이지를 작성하는 방법
우선 X-scada의 웹서비스 내보내기 기능을 사용하시기 위해선 아래의 설정 창에서 "홈 디렉토리"를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저는 바탕화면에 web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를 지정하였습니다.
이제 해당 폴더로 가셔서 첨부된 압축파일을 압축해제 하신 후 붙여 넣습니다. 폴더 이름은 ErrorPages입니다.
허용된 사용자가 초과되면 보여질 406.html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
내용을 보시면 html문법에 의해 간단한 내용을 작성하였으며 이미지가 하나 연결되어 있습니다.
해당 이미지의 경로는 "ErrorPages/test.jpg"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당 html파일이 기준이 아니라 "홈 디렉토리"가 기준 위치가 됩니다.
에러 페이지를 커스터마이징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홈 디렉토리"에 있는 "ErrorPages"폴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캡쳐 화면으로 보여드린대로 해당 폴더 안에 html문서 이름을 지정하여 작성해 주시면 다양한 에러 페이지로 HMI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clientCount/>와 <$maxClients/>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 수와 현재 사용자 수를 표시해 줍니다.
<$clientCount/>이 의미하는 것은 접속이 허가되어 접속 중인 사용자 이므로, <$clientCount/>의 수가 <$maxClients/> 보다 커지진 않습니다.
에러 정보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이미지는 jpeg, gif, jpg, png 4가지입니다.
하지만 해당 폴더 안에 하위 폴더를 만드셔서 사용하시면 X-scada 웹서버가 읽을 수 없기 때문에 [홈 디렉토리]/ErrorPages 안에서 작업해 주시길 바랍니다.
3. 인터넷 익스플로러 설정
Chrome이나 Edge 브라우져는 위에 적힌대로 에러 페이지를 작성하시면 그대로 표현이 됩니다.
하지만 Internet Explorer에서는 "인터넷 옵션"에서 설정 하신 후 재부팅하셔야 직접 장성하신 페이지가 표현됩니다.
Internet Explorer -> 인터넷 옵션 -> 고급탭 -> HTTP 오류 메시지 표시 순서로 설정을 찾으신 후, 체크를 해제합니다.
해당 설정을 저장하신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하시면 적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