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포털에서 API로 데이터 가져오기 (기상청 데이터 조회)
공공데이터포털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 통합제공 시스템입니다.
공공기관이 생성하거나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들을 한 곳에서 제공하는 통합 창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한 눈에 제공해주는 곳인만큼 교육, 국토관리, 사회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중 기상청 데이터를 불러와 X-SCADA AI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해당 활용 방식을 습득하여 응용한다면 다른 분야의 데이터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에서 API키 발급받기
1) 공공데이터포털에 접속 후 이용하고자 하는 오픈API에 접속한다.
· 기상청_단기예보 ((구)_동네예보) 조회서비스 API 활용 예정 (해당 사이트로 이동(클릭시 이동))
2) [활용신청]을 눌러 API키를 발급받는다.
3) 자동승인이 기본이기 때문에 바로 API키가 발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발급받은 API키는 API 분석 후 활용 예정이다.
2. 기상청 단기예보 API 분석하기
1) 오픈API 정보란에서 참고문서를 다운로드 받는다.
2) 다운로드 받은 파일(.zip)을 압축해제한 뒤 기상청 단기예보 조회서비스 Open API 활용가이드.docx을 열어 API를 분석한다.
· 어떤 API를 사용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지에 따라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분석한다.
4) 응답 메시지 데이터에 대해 분석한다.
5) 압축 해제한 폴더에 들어있는 엑셀 파일을 열어 조회하고자 하는 지역의 “격자 X”와 “격자 Y”를 확인한다.
· 데이터 요청 양식 중 [예보지점X좌표]와 [예보지점Y좌표]에서 활용할 예정이다.
3. X-SCADA AI Designer에서 JavaScript를 활용해 API 연동하기
1) X-SCADA AI Designer를 실행한 뒤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등을 활용해 화면을 작화한다.
2) 스크립트 작성창에 아래와 같이 API 연동을 위한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 이미지를 통해 보여지는 스크립트는 일부분입니다. 보다 정확한 스크립트 분석을 위해서는 첨부한 프로젝트 파일(.xix)을 다운로드 받아 X-SCADA AI Designer로 실행해주세요.
2-1) 수신한 강수형태(PTY) 데이터를 가독성이 좋도록 데이터를 변환한다.
· 값을 가져오면 아래 이미지처럼 0, 1, 2, 3 과 같이 숫자 형식으로 받아온다. (1번 사진 참고)
· X-SCADA AI에서 볼 때는 쉽게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값을 한글로 변환시켜주도록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2번 사진 참고)
2-2) 수신한 풍향값 역시 16방위를 숫자로 받아오기 때문에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4. X-SCADA AI Viewer를 통해 API 연동 결과 확인하기
1) 설정한 프로젝트 저장 후 X-SCADA AI Viewer로 실행하여 API 통신 결과를 확인한다.
· 우측 상단에 있는 X좌표와 Y좌표를 수정한 뒤 [조회]를 클릭하면 다른 지역의 일기예보도 확인할 수 있다.
2) 첨부한 프로젝트 파일(.xix)을 다운로드 받은 뒤 X-SCADA AI Designer로 열어 발급한 APIKey를 입력하여 저장한 뒤, X-SCADA AI Viewer로 실행하면 직접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